칭찬스킬3 칭찬의기술(실전편) 지난번 포스팅에서 칭찬의 기본적인 기술에 대해 다루어 보았는데요~ 정리를 해 보면 1. 프레임의 문제 칭찬은 할 거리가 있을 때 하는 게 아니라.. 찾아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당연히 해야 하는 것들도 칭찬하는 연습을 해 보자 2. 칭찬 역시 많이 해 본 사람이 잘한다. 목표를 정하고 칭찬을 하는 연습을 해 보자 3. 칭찬을 하기 위해서는 상대방에 대한 관심과 관찰이 필요하다 처음에는 누구나 어렵지만 결국 내가 행복해지기 위해 필요한 과정이라고 생각하고 연습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은데요~ 오늘은 칭찬의 좀 더 구체적인 기술에 대해 이야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첫째, 칭찬은 구체적으로 해라!!! 칭찬을 안 하는 것보다 하면 물론 효과가 좋지만 더 큰 효과를 보려면 구체적으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 2020. 6. 28. 칭찬의 기술(기본편) 얼마 전에 영화 싸움의 기술 2편이 개봉을 했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다. 싸움을 즐겨 하지 않아서 잘 모르지만, 그래도 기본적으로 싸움의 기술을 쌓으려면 많이 해 보고 어떤 기술이 적에게 효과적으로 대미지를 줄 수 있는지.. 그리고 내가 잘 구사할 수 있는 기술은 무엇인지 파악하는 게 우선이지 않을까 싶다. 싸움에 기술이 있는 것처럼 칭찬에도 기술이 있다. 칭찬의 기술을 쌓으려면 이도 싸움의 기술과 마찬가지로 많이 해보고 어떤 칭찬이 타인에게 가장 효과적인지.. 내가 잘 쓸 수 있는 칭찬을 무엇인지 파악해야 한다. 그러나 우리는 지난 포스팅에도 쓴 적이 있듯이 보통 칭찬에 대해서 인색한 편이다. 어색하다, 쑥스럽다 라는 이유도 많이 꼽는 이유지만, 사실 칭찬할 거리가 없다..라는 이유를 많이들 이야기한다.. 2020. 6. 13. 피드백 이야기(feat. 칭찬으로 행복해지기) 2006년 독일월드컵이 한창이던 해에 팀장이 되었으니 올해로 15년째 직원관리 일을 하고 있는 셈이다.. 그 이후 몇차례의 승진을 통해 지금은 주로 기업의 과장급.. 그러니까 밑으로 8~10명 정도의 팀원을 꾸리고 있는 중간관리자들의 멘토나 코칭을 하고 있다. 정말 신기하게도 중간관리자들의 면담을 하다보면 사람관리에서 힘들어하는 부분은 공통적이다. "A직원은 이러저러한 단점이 있는데 제가 잔소리를 하니까 바로 나아지긴 했는데, 그나마 몇 주 동안만이고 금방 도로 제자리걸음입니다. 그래서 다시 잔소리를 하면 고작 며칠 동안만 나아지긴 하는데, 제가 그 친구에게만 매달릴 수도 없고, 고민입니다." 여기서 A가 B가 되거나 이러저러한 단점이 요러저러한 단점이 될 뿐이지 큰 맥락에서 보면 같은 고민을 하고 있는.. 2020. 6. 1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