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회사들이 연봉협상의 시기를 연초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도 있고 입사일자를 기준으로 연봉협상의 시기를 결정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기업을 제외하고는 평균 연봉 인상률이 2~5%가 일반적이라고 합니다.
경기가 좋지 않다는 것을 체감할 수 있습니다.
올해 초 휴넷 평생교육원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2020년 올해 직장인들이 기대하는 이상적인 연봉 인상률은 7%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그러나 글로벌 인사, 조직 컨설팅 회사인 'Korn Ferry'다 예상한 결과는 사뭇 달랐다고 합니다.
2020년 한국의 물가 상승률이 1.2%로 예측되면서, 실질임금 인상률이 약 2.9%로 나온 것입니다.
이는 2019년 실질임금 인상률인 3.7%보다 0.8% 낮은 수치입니다
2018년부터 지난 2년간 우리나라의 급격한 최저임금 상승으로 인해 실질임금 인상률이 3% 후반을 기록한 모습입니다. 그러나 이번 2020년에는 예년에 비해 물가와 최저임금이 모두 낮은 폭으로 상승하게 되면서 3% 미만의 수치가 나왔습니다.
올해의 실질임금 인상률이 직장인들의 기대 수치였던 7%와 약 4% 정도 차이가 나게 되면서 많은 이들이 아쉬움을 금치 못하는 예측 자료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올해는 코로나 19의 후폭풍으로 인해 경기가 더 안 좋아질 수 있을 거라는 예측들이 나오고 있어서 직장인들의 기대를 더욱 암울하게 하는 한 해가 되고 있습니다.
그래도 아는 것이 힘이다!! 라는 말처럼.. 연봉 인상률을 구하는 법 정도는 알고 있으면 더 도움이 될 수 있겠지요?
그도 그럴 것이 매년 최저임금이 인상되면서 직장인들의 경우에는 연봉인상분에 이 부분이 어떻게 반영될지 궁금해하는 경우도 많으실 겁니다.
연봉 인상률 계산하는 방법을 공유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인상후 연봉 금액을 인상전 연봉 금액으로 나눈 값에 1을 빼준 뒤 100%를 곱하면 됩니다.
계산식 1
(인상후 연봉/인상전연봉)-1×100%
예) 전년도 연봉 3,000만 원이었던 직장인이 올해 연봉 계약에서 3,300만 원의 연봉으로 계약하였습니다.
(3,300만 원/3,000만 원)-1=1.1-1=0.1
0.1 × 100%=10%
연봉 인상률 10%
계산식 2
(인상후 연봉-인상전 연봉)/인상전 연봉 × 100%
예) 전년도 연봉 3,000만 원이었던 직장인이 올해 연봉 계약에서 3,300만 원의 연봉으로 계약하였습니다.
(3,300만 원-3,000만 원)/3,000만 원=0.1
0.1 × 100%=10%
연봉 인상률 10%
계산식 3
기존 연봉 × 1.0(인상%) = 인상된 연봉
예) 예를 들어 현재 연봉이 3000만 원인데 5%가 인상되었다면
3000만 원 ×1.05=
31,500,000입니다.
예) 연봉이 2750만 원인데 7.7%가 인상되었다면
27,500,000 ×1.077=
29,617,500입니다.
지금까지 연봉 인상률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라이프&직장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구직활동지원금 &취업성공금 (0) | 2020.07.28 |
---|---|
온누리상품권 현금교환 ,할인혜택, 사용처, 판매처 (0) | 2020.07.27 |
근무시간계산기로 근무시간계산, 근태관리, 자동급여계산까지 (1) | 2020.07.25 |
신입사원 건배사 (0) | 2020.07.24 |
내신등급계산기 : 손쉽게 내신등급알아보기~ (0) | 2020.07.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