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라이프&직장생활

퇴직금 계산방법, 지급기준등 알아봅시다!

by 뷰실 2020. 8. 14.
반응형

계산을 해 보니 저도 직장생활을 한지 벌써 횟수로 거의 20년 차가 다 되어 가더군요..

예전에는 퇴직금을 1년 단위로 정산을 직접 받았습니다.

받고 나면 마치 보너스를 받은 것처럼 평소에 갖고 싶었던 물건을 산다던지.. 비상금처럼 은행에 넣어두고 야금야금 쓰곤 했는데...

요즘은 퇴직금이 은행으로 입금되어서.. DC형태로 운영되기 때문에 내 돈 이기는 한데 내 맘 데로 할 수는 없는 그런 느낌입니다.

오늘은 항상 우리의 관심사이긴 하죠^^ 퇴직금 계산방법, 지급기준, 지급기한 등 퇴직금에 모든 것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코로나 19로 시장경제의 악재가 겹치면서 본인의 자의든 회사 사정에 의한 퇴사든 퇴직금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일단 퇴직금의 개념부터 알고 있으면 더욱 좋겠지요?

퇴직금이란?

1년 이상 계속 근무한 근로자가 퇴직하는 경우 1년에 대한 한 달 즉, 30일 이상의 평균임금을 지급해야 합니다.

이 부분은 근로자법에 명시되어 있으므로 모든 사업장에서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따라서 지급기준만 충족시킨다면 퇴직금을 받는 것은 근로자의 기본 권리입니다.

 

 

퇴직금 지급기준

그렇다면 나는 퇴직금 지급기준의 대상자가 되는지 알아보아야겠지요?

여러 가지 기준이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1년 이상 근무하고 주 15시간 이상 근무를 한 근로자가 자격이 된다는 사실입니다.

그리고 또한 휴직기간도 근속에 포함되니 이 점 알아두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바와 같이 5인 미만의 영세사업자의 경우에도 2018년부터 퇴직금 지급에 대한 부분이 법률조항에 포함되었기 때문에 지급대상으로 문제없습니다.

또한 기간제 근로자 및 파견근로자도 적용가능합니다. 

  • 1년 이상 계속 근로
  • 주 15시간 이상 근무자
  • 근로자가 그 직을 보유하고 근로관계를 유지한다면 휴직기간도 근속에 포함됨.
  • 5인 미만 영세 사업자의 경우도 포함됨
  • 기간제근로자 및 파견근로자도 적용

즉, 1년 미만 근로자, 1주 15시간 미만 근로자를 제외하고 모두 적용 가능

그렇다면 이런 퇴직금이 얼마나 되는지 궁금할 수 있겠지요?

퇴직금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퇴직금 계산방법

 

1일 평균임금*30일*(재직일수/365) 단, 통상임금이 평균임금보다 높을 경우,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합니다. 

그래도 여러 가지로 모르겠다고 하실 때에는 쉽게 네이버에 퇴직금계산기를 사용하시면 빠르게 계산이 가능합니다.

출처:네이버

퇴직금 지급기준과 규모까지 알았다면 지급기한을 알아보아야 하겠지요?

퇴직금 지급기한

퇴직 일자 기준 14일 이내 지급해야 합니다.

단, 당사자 간의 합의가 있다면 기가은 연장 가능합니다.

그러나 별도의 합의나 고지 없이 지급기한을 어길 시에는 연 20%의 가산이자를 근로자에게 추가로 지급해야 합니다. 

 

오늘은 퇴직금 지급기준, 지급기한, 계산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요즘은 퇴직금을 현금으로 받는것이 아니라 은행에 예치해 두고 DC형태로 운용하는 경우가 많아서 연금과 관련된 여러 가지 상품들에 대한 지식이나 공부도 해 놓으면 편안한 노후를 만드는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저도 몇 년 전까지는 퇴직금을 예금에 투자하고 운용에 무관심이었는데 최근에 관심이 생기면서 펀드나 국채 등에 나누어 운용하여 7~8% 정도의 수익을 보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현명한 투자를 응원합니다.~ 

 

반응형

댓글